
우리나라는 노년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급격한 초 고령화로 50대 이상의 중·고령층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1 이러한 노년 인구의 증가는 여러 노인성 질환의 증가와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2 노년기에는 신체의 약화로 체력이 저하되고, 운동기능이 둔화되어 쉽게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3 이에 다른 연령층보다 노년의 건강한 삶을 위해 건강 증진 활동이 필요하며 관리의 중요성도 커지게 된다.
노인성 질환으로는 고혈압과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과 체력 기능과 관련된 골격계 질환 등이 있으며 그 중 특히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일으키는 근력소실과 근수축력 저하, 유연성 감소 등이 있다.2 이러한 근육량 감소와 근력 저하는 중년부터 시작하여 노년까지 지속적으로 가속화되어 일상생활을 제한 시킬 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이나 호흡기 질환에 문제를 일으켜 사망률을 증가 시킬 수 있다.4 노인의 근력 약화는 신체 기능 저하의 주요 요인 중 하나이며, 골밀도 저하와 골절, 낙상 등으로 이어져 노인의 기능적 삶에 영향을 주게 된다.5
악력은 손바닥으로 물건을 잡는 힘으로 특정 근육들이 발휘 할 수 있는 최대 힘을 말하지만 짧은 시간 동안 낼 수 있는 최대 악력 보다 일상생활 수행 시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는 능력으로 사용할 때가 많다.6,7 또한 근력과 연관이 있으며, 활동 시 사용되는 손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8 악력은 노인의 건강 지표로 인식되며, 뇌와 운동 간의 인지 기능을 예측하는 지표 중 하나로써 체력의 구성요소인 근력과 근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9 근육량 감소는 근력 저하와 함께 중년기에 가속화되어 노년기까지 이어진다.4 이와 마찬가지로 악력도 10대에 계속 증가하여 20대부터 50대까지는 유지되며, 60대 이후에는 감소하여 장애가 생기거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10 이처럼 연령이 증가하면서 근육의 감소와 악력의 감소는 신체 기능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악력의 약화는 손의 힘의 약화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상지의 말단 부분인 손바닥과 손가락의 상호 협응이 필요하며, 이들의 세부 근육간의 협응이 적절하게 조합되어야 한다.9
손의 기능은 운동을 시작하는 시간과 움직임의 연속성, 움직임의 조절에 영향을 받아 손의 힘을 정확하게 조정하게 된다.11 그러나 손의 과 사용으로 긴장성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으며, 반복된 사용으로 인해 손목 터널 증후군이나 드퀘르벵 증후군, 방아쇠수지 증후군 등을 발병시킬 수 있다.12 이러한 질환은 손의 악력을 저하시키는데 큰 영향을 준다. 손은 과도한 힘이 요구되거나 반복적인 동작을 통한 피로도로 인해 근 골격계 질환이 발생하지만 손의 힘은 지속적으로 근력이 수축되면서 강화되기 때문에 여러 활동이 필수적이며 운동하지 않는 것 보다 운동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12,13
노인의 신체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규칙적인 운동은 근 손실의 예방과 인지기능, 정신적 건강 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14 그렇기 때문에 재활이 필요한 노인의 상지 기능이나 손, 손의 악력에 대한 재활 프로그램이 다양할 수밖에 없다. Song 등15의 연구에 의하면 폼롤러 운동으로 여성 노인의 상지 근력이 증가되었으며, 유연성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또한 키보드 건반 연주를 통해 상지의 대소근육의 기민성과 악력이 향상되었으며, 탄력밴드 운동과 짐볼 운동도 노인의 악력을 향상시켰다고 하였다.2,7,11 그러나 이러한 도구가 필요한 재활은 노인들의 현실적인 제약이 따르며 참여에 어려움이 발생시킨다.16 또한 정확한 운동방법을 숙지하고 재활 운동을 자주 해야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특별한 해답이 없는 상황이다.17 Lee 등18이 연구한 보드 개발은 노인들의 인지 증진과 소근육 향상에 도움을 주었으며, 흥미와 참여도를 높였지만 재미와 흥미를 통한 재활 치료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국외에서 진행된 악력에 관한 연구에서도 아동기에서 성인까지 최대 그립력, 중년과 노년의 악력과 경동맥 죽상경화증 사이의 연관성, 노인의 악력과 근육량, 균형 등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노인에게 즐거움을 주면서 악력을 증가시키는 연구는 미미하다.19-21 이에 손의 재활이 필요한 모든 노인들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켜 계속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의 악력을 위한 연구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스스로 재활을 할 수 있는 흥미롭고 재미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이는 병원이나 센터 등에서 노인의 신체 재활을 위한 한 부분으로써 도움이 될 것이며,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의 악력에 영향을 미치는 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 문헌을 분석한 체계적 고찰이다. 자료 수집은 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와 KISS (한국학술정보),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을 통해 최근 국내 논문 자료를 검색하였다. PRISMA의 가이드라인으로 수행하였으며, 논문 No.는 연도수가 빠른 순으로 정리하였다(Table 1).
Literature No
No. | Author | Year | Title | |
---|---|---|---|---|
KCI | 1 | Oh | 2016 | Effect of Tai-chi on grip power, pain and fear of falling in elderly person |
2 | Yoo et al. | 2020 | Effects of dementia preven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type of aquatic exercise on cognitive function, grip strength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elderly women | |
3 | Mun & Lee | 2022 | Effects of exercise program on grip strength and postural balance in middle older adults | |
4 | Lee et al. | 2022 | Effects of the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telephone coaching on postural balance, grip strength and depression of elderly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 |
5 | Kim et al. | 2022 | 16-Week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effect on grip strength | |
6 | Song | 2023 | Effects of fall prevention elastic band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test, grasp power, flexibility, and muscle volume in older women | |
KCI candidate | 1 | Son | 2014 | Effect on exercise program using muscle strengthening flowchart on flexibility, hand strength and depres- sion in rural elderly women |
2 | Ha et al. | 2016 | Effects of recreation exercise program on bone mineral density, grip strength and flexibility of the elderly women |
본 연구의 문헌 검색은 2024년 6월 22일부터 7월 29일까지 하였으며, 최근 10년간 문헌으로 2014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KCI 등재지와 KCI 등재 후보지만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로는 “노인”, “악력”, “old man”, “old age”, “grip”이었으며, 이에 대한 재활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을 검색하였다. 제외 기준은 본 연구 내용과 관련이 없는 논문, 재활 프로그램과 관련 없는 논문, 학위 논문과 도서, 연구보고서, 해외자료였으며 중복된 논문도 제하였다. 수집된 문헌은 1,181권이었으며 제외 기준에 따른 논문은 1,173권이었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논문은 8권으로 선정되었다. 자료 검색은 연구자와 특수교육학을 전공한 작업치료사 1명과 물리치료사 1명이 함께하였으며, 각각 검토한 후 분석된 문헌을 일치시켰다(Figure 1).
본 연구는 2008년에 개발된 Arbesman과 Scheer, Lieberman의 근거 기반 의학 질적 수준 분석 모델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과학적 임상 연구를 통해 얻은 증거를 바탕으로 진단과 중재를 제공한다.22 Level 단계는 V단계로 분석하였다. II단계는 5권(62.5%), III단계는 3권(37.5%)이었으며, I단계, IV단계, V단계에 해당하는 논문은 없었다(Table 2).
Qualitative level classification
Level of evidence | Research type | N | % |
---|---|---|---|
I | Systemic review Meta-analyses Randomized | ||
Controlled trials | - | - | |
II | Two groups non-randomized | 1, 2, 3, 5, 6, | 62.5 |
III | One groups non-randomized | 4, 7, 8 | 37.5 |
IV | Single subject designs surveys | - | - |
V | Case report narrative literature review | ||
Qualitative researches | - | - | |
Total | 8 | 100 |
악력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은 태극권(No. 1)을 이용한 재활이 1권, 수중운동(No. 2)이 1권, 2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 운동(No. 3)이 1권, 전화 코칭((No. 4)을 이용한 운동이 1권, 짐볼을 사용한 유·무산소 운동(No. 5)이 1권, 탄력밴드12타입(No. 6)을 이용한 운동이 1권, 근력강화 순서도(No. 7)를 활용한 운동이 1권, 레크레이션(No. 8)을 이용한 운동이 1권이었다. 운동 프로그램은 탄성밴드를 병행하여 연구한 것이 4권으로 많았다(No. 3, 4, 6, 7). 중재기간은 12주가 3권(No. 2, 4, 6)으로 가장 많았으며, 16주가 2권(No. 3, 5), 6주 1권(No. 1), 36주 1권(No. 7), 11개월 1권(No. 8)이었다(Table 3).
Type of intervention and period
Type | Period | No. |
---|---|---|
Tai-Chi | 6 weeks | 1 |
Aquatic Exercise | 12 weeks | 2 |
Elastic band (resistance exercise) | 16 weeks | 3 |
Exercise program with phone coaching (elastic band) | 12 weeks | 4 |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with gym ball | 16 weeks | 5 |
Elastic band (12 types) | 12 weeks | 6 |
Exercises using the muscle strengthening flowchart with Elastic band (6 basic movements) | 11 months | 7 |
Recreation Exercise | 36 weeks | 8 |
악력과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으로는 통증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No. 1), 인지기능과 대사증후군(No. 2), 균형 능력(No. 3, 4, 5)과 우울증(No. 4, 7), 유연성(No. 6, 7, 8)과 근육량(No. 6), 골밀도(No. 8)가 있었다. 이중 균형능력과 유연성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No. 5는 악력만 측정되어서 Table에 기제하지 않았다(Table 4).
Variables and other considerations
Category | Variables and other considerations | No. |
---|---|---|
Grip strength | Pain | 1 |
Fear of falling | 1 | |
Cognitive function | 2 | |
Metabolic syndrome | 2 | |
Balance ability | 3, 4, 6 | |
Depression | 4, 7 | |
Flexibility | 6, 7, 8 | |
Muscle mass | 6 | |
Bone density | 8 |
재활 프로그램 분석은 PICO로 정리하였다. 악력 증가는 왼쪽 손의 변화 없이 오른손만 증가한 No. 4 외에 모든 연구에서 증가되었다. 함께 측정된 변인 중 통증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No. 1), 우울증(No. 4, 7)은 감소되었으며, 균형 능력(No. 3, 4, 6)과 유연성(No. 6, 7, 8), 근육량(No. 6), 골밀도(No. 8)는 증가되었다. 그러나 인지기능과 대사증후군(No. 2)은 변화가 없었다(Table 5).
Rehabilitation program analysis (PICO)
No. | Author (Year) | Participants | Intervention | Comparison | Outcome | ||
---|---|---|---|---|---|---|---|
Selection criteria /Age | TG/CG | TG/CG (gender) | |||||
1 | Oh (2016) | • A healthy elderly person who did not exercise regularly until six months ago 65 years of age or older | 19/18 | Male & female mix | • Tai Chi technique • 6 weeks 5 times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
• Non Tai Chi technique | • TG - Grip strength: increased - Pain: reduced - Fear of falling: decreased •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G and CG in fear of falling |
2 | Yoo et al. (2020) | • A healthy elderly person 65 years of age or older | 15/15 | Female | • Elderly water Exercise • 12 weeks 2 times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
• Elderly psychological exercise • 12 weeks 2 times a week 50 minutes per session |
• TG - Grip strength: increased •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G and CG in cognitive function and metabolic syndrome |
3 | Mun et al. (2022) | • People who have no problems with visual range, have not performed regular aerobic exercise in the past 6 months, and have no pain Middle aged 75-85 | 33/34 | Male & female mix | • Exercise program Balance exercise resistance exercise flexibility exercise • 16 weeks 2 times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
• Non Exercise program | • TG - Grip strength: increased - Balance ability: increased |
4 | Lee et al. (2022) | • A person who is able to communicate, has no restrictions on activities, can use the phone, and has not participated in an exercise program for 6 months Elderly aged 65 or older living alone | 20/- | Male & female mix | •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phone coaching • Phone coaching: 12 weeks 1times a week 15 minutes per session • Exercise program: 12 weeks 20 minutes per session |
- | • Left grip strength: no change right grip strength: increased • Depression score: decrease • Balance ability: increased |
5 | Kim et al. (2022) | • Elderly diagnosed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75 years or older | 22/20 | Unkwon (old man) | • Exercise program; use of gym ball • 16 weeks 3 times a week 40 minutes per session |
• Non Exercise program | • Grip strength: increased |
6 | Song (2023) | • A person who does not engage in continuous physical activity at least twice a week and has no communication problem 65-75 years old | 17/16 | Female | • Elastic band exercise program: 12 sports - 15 repetitions per set - Repeat 20 times after 4 weeks - Repeat 25 times after 8 weeks - Within 1 minute of rest between exercises and sets • 12 weeks Group exercise twice a week Self-exercise on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
• Existing daily Life - Receive Reports on Special physical activities and exercises - Monitor once a week and check wheth- er there was physical activity that caused sweating for more than 30 minutes twice a week. |
• TG - Grip strength: increased left and right - Balance tes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with the group before and after exercise. - Flexibility: Increased - Muscle mass: Increased • CG - Grip strength: increased on the right - Balance test: increased - Flexibility: decreased - Muscle mass: decreased |
7 | Son (2014) | • 65 years of age or older | 37/- | Female | • Exercise program using elastic bands and muscle strengthening flowchart • 11 months 2 times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
- | • Grip strength: increased in both hands • Flexibility: Increased • Depression: decrease |
8 | Ha et al. (2016) | • 60 years of age or older | 98/- | Female | • Recreational exercise program • 36 weeks 3 times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
- | • Grip strength: increased • Bone density: increased • Flexibility: Increased |
본 연구는 노인의 손의 악력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을 알아봄으로써 재활의 필요성 알리고자 문헌을 분석하였다. 손의 악력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으로는 태극권을 이용한 재활과 수중운동,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 운동과 전화 코칭을 이용한 운동, 짐볼을 사용한 유·무 산소 운동과 탄력밴드(12타입) 운동, 근력강화 순서도를 활용한 운동과 레크레이션을 이용한 운동이었다. 중재기간은 최소 6주에서 최대 11개월이었으며, 12주 동안이 가장 많았다. 이는 노인들의 운동 능력과 인지 기능에 따른 이해력이 상이하기 때문에 중재 기간이 다르게 나타났을 것으로 사료된다. 악력을 위한 운동은 직접 손목을 쥐어 근육을 강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동 기구와 프로그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탄력밴드와 같은 소도구는 육체적, 인지적인 문제를 가진 노인들의 근력을 기르기 위해 안전하고 쉽게 사용되어 사용되지만 단순하게 반복되어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23 함께 측정된 종속변인은 통증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 인지기능과 대사증후군, 균형 능력과 우울증, 유연성과 근육량, 골밀도가 있었으며, 악력만 연구한 논문은 한 권뿐이었다. 이렇듯 악력은 함께 측정된 변인과 관련성이 많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PICO로 정리한 재활 프로그램은 효과에서 악력 증가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증가되었으며, 균형 능력과 유연성, 근육량과, 골밀도 또한 증가되었다. 통증과 낙상에 대한 두려움, 우울증은 감소되었으며 인지기능과 대사증후군은 변화가 없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악력만 실험한 것이 아닌 다른 종속 변인과 함께 연구되었다. Yoo 등24의 연구에 의하면 노인의 악력이 낮으면 압력조절과 인지능력이 약화되고, 동반 질환과 더불어 사망위험도 높아진다고 하였다. 또한 신체 수행력의 손상과 심혈관질환, 고혈압, 당뇨병, 골다공증과 같은 다양한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25 이처럼 악력은 노인에게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악력은 노인의 신체 기능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며, 근력 측정의 지표로 활용 되고 있다.26 중년 이상 노화에 따른 근육의 질 감소는 악력의 감소에서 주 된 것이라고 하며, 또한 노화시 약화되는 신체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시 많이 사용되는 손의 능력 저하는 노인에게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26,27 노인의 신체활동에서 손의 힘은 일상생활 활동에서 복잡한 움직임을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14 이에 악력의 약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 주어, 손의 기능을 오래 유지 하면서 독립적인 생활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다.28 Lee 등28 의 연구에서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악력을 향상 시켜주었으며, Han 등29 의 연구에서 레크레이션 운동으로 인해 악력이 향상되었다고 한다. 또한 손과 손가락의 근관절 운동을 통해 악력과 잡는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Kim 등30의 연구에서 보여주었다.
노인의 악력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은 기록향상이 목표가 아닌 신체 기능의 향상이나 유지 또는 예방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 어디서나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공간적,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장기간 운동을 할 수 없다는 점과 노인 스스로 즐기면서 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이 많지 않다는 제한이 따른다. 또한 노인 스스로 필요성을 느끼고 흥미와 재미를 통해 계속적으로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아닌 실험만을 위한 연구가 많아서 추후 노인에게 흥미와 재미를 주면서 악력을 증가시키는 운동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악력을 기르기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장점을 살려 노인들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인 부분과 노인의 건강을 위한 전문가들의 노력이 더욱 필요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해외 학술을 포함하지 않은 국내의 문헌만을 고찰한 것으로 외국 노인의 악력에 대한 중재 방법이 소개되지 않았다는 것이며, 또한 노인의 악력만 연구된 논문이 한 권 외에 없어서 노인의 악력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없다는 것이다. 추후 전기 노인, 후기 노인을 세분화하여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악력을 키우는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