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Effects of Fascial Distortion Model and Dynamic Taping for Wrist Extensor on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J Kor Phys Ther 2025;37(1):13-19
Published online February 28, 2025;  https://doi.org/10.18857/jkpt.2025.37.1.13
© 2025 The Korea Society of Physical Therapy.

Yu-In Park1, Jae-Kwang Lee2, Ji-Won Park1

1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san,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Daegu Health College, Daegu, Republic of Korea
Ji-Won Park
E-mail mylovept@hanmail.net
Received January 3, 2024; Revised January 5, 2024; Accepted March 4,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and dynamic taping for wrist extensor on the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36 subjects (male 24, female 12) who performed wrist extension under four conditions. The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of the wrist extensor were measured using a motion biofeedback device. One group applied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to the wrist extensor, while the other group applied dynamic taping to the wrist extensor. The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and dynamic taping to the wrist extensor.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a paired t-test was us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and the criterion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Both interventions were significant within the group, and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ve sensation (p<0.05).
Conclusion: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and dynamic taping effectively increased the wrist extensor function, and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range of motion and proprioception. Hence,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and dynamic taping application can help improve the function of people who have problems with extensor wrist muscles.
Keywords : Fascial distortion model, Dynamic taping, Lateral epicondylitis
서 론

현재 근골격계 환자를 대상으로 도수치료, 테이핑 요법, 이온치료, 전기치료 등이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많이 적용되고 있고 특히 가쪽 위관절융기염 환자에게 많이 적용되고 있다. 팔꿉관절 가쪽 위관절융기염(lateral epicondylitis)은 팔꿉관절 부위에 손목 폄 기능장애 또는 심각한 통증을 가진 만성 근골격계 질환이며, 흔히 테니스 엘보(tennis elbow)라고 보고되었다.1,2 가쪽 위관절융기염 발생률은 일반인에게서 봤을 때 테니스와 관련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대개이며 테니스와 관련 있는 경우는 5% 정도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3 가쪽 위관절융기염은 주로 산업체 근로자에게 발생하기 때문에 공중보건의 문제 중 하나이며, 외측 팔꿉관절 부위에 통증을 경험하고 있는 근로자는 10.5%, 가쪽 위관절융기염 진단을 받은 근로자는 2.4%로 보고하였다.4 가쪽 위관절융기염은 우세측 팔에 주로 발생하며 악력 감소, 통증 유발, 손목관절 굽힘과 폄 동작 모두에서 움직임 제한으로 인해 기능 장애가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5-8

근골격계 운동 기능 및 통증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근막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많이 보고 하였다.9 근막(fascia)은 골지힘줄기관(golgi tendon organ), 루피니소체(ruffini corpuscle), 파치니소체(pacini corpuscle), 근방추(muscle spindles), 자유신경종말(free nerve ending)을 포함하는 기계적 수용기(mechanoreceptor)가 많이 분포하고 있고 기계적 감각에 자극을 받고 있는 인체의 가장 큰 감각기관이라고 보고되었다.10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기존에 갖고 있던 단순히 근막이 근육을 싸고 있는 막이라는 말과는 다르게, 전신에 3차원적인 근막 연결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연부조직으로 인체 구조를 지지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7 근막의 손상이 발생하면, 가동범위제한, 자율신경계 문제, 근약화(weakness)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생리적 적응력이 낮아짐에 따라 근막의 긴장도는 증가되고, 긴장도는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면서 기능제한, 외상, 통증 등으로 발생하며 유연성과 연속성이 상실된다고 보고되었다.11,12 가쪽 위관절융기염을 진단받은 사람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능을 향상시키고 통증을 줄이기 위해 여러가지 치료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3 Ajimsha 등14은 근막이완 방법이 가쪽 위관절융기염을 가지고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효과적이라고 되었다.

새로운 근막이완요법중 하나인 근막변형모델(fascial distortion model, FD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5-17 근막변형모델의 평가의 이점은 통증을 겪고 있는 환자 본인이 표현하는 손짓(manual gestures)을 가지고 치료사가 빠르게 진단을 내릴 수 있다는 것이라고 보고되었다.17 근막변형모델은 변형된 부위의 근막을 원상태로 회복시켜주는 방법으로 주로 치료사의 손을 이용한 강한 물리적 압박을 적용한다고 보고되었다.16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17-20 근막이 뒤틀리거나 찢어지는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근막의 움직임의 제한을 발생시켜 정상길이 보다 짧아진 형태로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18,21 선행연구에 따르면 근막변형모델이 근막에 영향을 미쳐 관절가동범위를 증가시켰으며, 기계적수용기 자극을 증가시켜 힘 감각을 증가시켰다고 보고되었다.21 Park과 Kim22의 연구에서도 관절가동범위 제한이 있는 환자에게 폼롤러와 근막변형모델을 각각 적용하여 관절가동범위를 비교하였을 때 더 유의미한 개선효과가 있었다.

테이프의 종류는 비탄력 테이프, 키네지오 테이프, 다이나믹 테이프로 대게 나누어지는데 치료적 목적에 따라 적용된다. 비탄력(non-elastic) 테이프는 근육의 작용을 억제시키고, 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등의 기계적 효과를 목적으로 사용한다. 키네지오(kinesio) 테이프는 탄력(elastic) 테이프 종류 중 하나로 신경계 및 순환계에 영향을 주는 신경생리학적(neurophysiologic) 효과를 얻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비교적 새롭게 개발된 다이나믹(dynamic) 테이프 또한 탄력(elastic) 테이프 중 하나로 인체 조직에 가해지는 기계적부하의 감소와 움직임을 보조하는 작용을 통해 생체역학적(biomechanical) 효과를 보기위해 사용한다고 보고되었다.23

다이나믹 테이프는 라이크라(lycra)와 탄성 나일론 혼합 소재로 구성되어 있고, 호주의 근골격계 물리치료사인 Ryan Kendrick가 2009년에 개발하였다. 최근 임상에서 근골격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이나믹 테이핑 사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다이나믹 테이프의 특성은 강한 탄성 반동력과 저항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키네지오 테이프(140%)보다 더 강한 신장력(200% 이상)을 가지고 있고 4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다이나믹 테이프의 작용 원리는 편심성 동작의 감속(deceleration of eccentric work)으로 운동 보조 및 부하 흡수하는 기계적 효과이며, 또 다른 작용 원리는 신경 생리학적 효과라고 보고되었다.23

테이핑 기법은 가쪽 위관절융기염으로 인한 통증의 감소 및 기능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임상에서 권장되고 있다고 있다고 보고되었다.24,25 테이핑 요법은 근육위의 피부에 테이프를 부착시켜 근육의 긴장(tension)을 억제 또는 촉진시켜 역학적인 자극에 따른 근활성화와 통증에 사용된다고 보고되었다.26 테이핑요법은 피부에 붙이고 있는 동안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간단하게 사용 가능하며 부작용이 적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27 테이핑 적용이 관절가동범위 증가 개선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27 그러나 테이핑요법을 적용한 가쪽 위관절융기염 개선을 위한 사례는 많이 있었지만 다이나믹 테이핑과 근막변형모델과 관련 연구는 부족하였다. 또한 테이핑과 근막이완과 관련된 비교에 대한 연구도 미미한 것이 사실이다.

즉, 본 연구를 통해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이 손목 관절 폄근에 대한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과 가쪽 위관절융기염 환자에게 적용하였을 때 더 효과적인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건강한 20-30대의 성인 남녀 36명을 대상으로 2022년 6월부터 8월까지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대상자들은 목적과 방법에 대해 충분히 숙지한 후 자발적으로 실험 참가에 동의한 자에 한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 선정 기준은 현재 팔꿉관절에 통증이 없는 자, 손목의 폄 동작을 통증이나 불편함 없이 움직일 수 있는 자, 다이나믹 테이핑 적용 후 피부 알러지 등 이상 반응이 없는 자,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스스로 참여하는 것에 동의한 자로 선정했으며, 제외 기준은 최근 3개월 이내에 심리적, 심호흡계, 정형외과적 또는 신경학적 질환의 의학적 진단을 받은 자, 현재 팔꿉관절에 통증이 있거나 손목이나 팔꿉관절 부위에 수술의 경험이 있는 자는 제외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정상 성인 36명 중 남자 24명, 여자 12명으로 FDM 그룹은 평균 나이 26.8세, 평균 신장은 169.9cm, 평균 몸 무게는 70.5kg으로 평균 체질량지수(BMI) 24.2kg/m2이다. Dynamic taping 그룹은 평균 나이 26.2세 평균 신장은 168.6cm, 평균 몸무게는 69.1kg으로 평균 체질량지수(BMI) 24.0kg/m2이다(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n=36)

Variables FDM Dynamic taping p
Age (years) 26.7± 2.7 26.2± 3.9 0.617
Height (cm) 169.9± 7.7 168.6± 6.4 0.617
Weight (kg) 70.5± 15.0 69.1± 15.8 0.785
BMI (kg/m2) 24.2± 3.8 24.0± 4.0 0.918

FDM: Fasical Distortion Model, BMI: Body Mass Index.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2. 연구방법

본 연구는 손목 폄근에 적용한 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테이핑이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과 후의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하였다. 두 집단을 분류하기위해 두 집단으로 나눠져 있는 종이를 안이 보이지 않는 밀폐상자에 넣어 제비뽑기를 하는 무작위 배정 방식을 사용하였다.

3. 실험방법

1) 측정도구 및 측정방법

(1) 관절위치 감각 검사(Joint position sense test)

손목 관절위치 감각 검사를 하기위해 동작 분석 장치(motion biofeedback device, Relive, Gimhae, Korea)를 사용하였다(Figure 1). 이 동작 분석 장치는 관성 측정 장치로 지구의 해수면과 자기장을 이용하여 절대 각도(absolute angle)를 산출한다. 각각의 센서들 사이에 위치를 계산한 상대 각도(relative angle)를 측정하여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동작 분석 장비가 설정한 축(X, Y, Z)에 대해 수직인 면에서 나타나는 움직임을 계산한다고 보고되었다(Figure 1).28

Fig. 1. Motion biofeedback device, Joint position sense test.

(2)관절가동범위 측정 방법

손목관절의 폄 범위는 동작 분석 장치(motion biofeedback device, Relive, Gimhae, Korea)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대상자는 아래팔을 엎침한 상태로 검사대에 올려놓았고 고정팔은 자뼈의 중심선, 운동팔은 5번째 손허리뼈의 중심선으로 설정하였다고 보고되었다.29

모든 대상자들은 능동적으로 각 동작을 3회 수행하였고, 분석을 위해서는 평균값이 사용되었다.

(3)고유수용성감각 측정 방법

관절 위치 감각 검사로 고유수용성감각을 측정한다. 동작 분석 장치(motion biofeedback device, Relive, Gimhae, Korea)를 사용하였다. 평편한 테이블에 주먹을 쥐고 아래팔을 엎침 시킨 후 손목을 약간편 상태에서, 첫 번째 센서는 손등에 부착하고, 두 번째 센서는 수평 테이블에 올려놓는다. 손목 폄 45°에서 각각 3회씩 오차 각을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Figure 1).30

2) 중재도구 및 중재방법

(1) 다이나믹 테이프(Dynamic Tape)

손목 관절 폄근에 다이나믹 테이프(Dynamic tape, Port Vila, Vanuatu)를 사용하였다(Figure 2).

Fig. 2. Dynamic Tape, attachment method.

(2) 다이나믹 테이핑 적용 방법

다이나믹 테이핑을 적용하기 전에 먼저 다이나믹 테이프(Dynamic tape, Port Vila, Vanuatu)를 아래팔의 안쪽 피부에 20분동안 부착하여 참여자의 피부 알러지 반응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손목부터 팔꿈치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여 테이프 길이를 준비하였다. 참여자의 팔을 책상 위에 두고 손목을 완전히 펴고 아래팔을 엎침시켰다. 앞에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테이프를 손등 부위에서부터 부착하였다. 먼저 손등에 앵커(anchor)를 부착하였고, 짧은 노쪽손목 폄근의 근힘줄 접합부 지점을 지나갈때는 10% 정도의 장력을 적용하였고, 다이나믹 테이프의 시작 부분과 다이나믹 테이핑이 끝나는 팔꿈치 부위에 다이나믹 테이프의 5 cm 정도 되는 부분에는 장력이 0%가 되도록 하였다. 손목과 아래팔에 부착한 다이나믹 테이프 위를 손으로 문질러 부착력을 향상시켰다고 보고되었다(Figure 2).31

(3) 근막변형모델 적용 방법

근막변형모델 6종류의 모델 중 통증띠(Trigger band, TB)와 원통형 변형 (Cylinder distortion, CyD) 기법이 검사자의 손을 통해 적용되었다.32 모든 대상자의 팔꿉관절을 편 자세에서 능동적으로 손목관절을 굽힐 때 불편감이 느껴지거나 혹은 당기는 느낌이 나타나는 부위를 가리키라고 표현하라 하였고, 대상자들은 팔을 테이블에 올려 놓고 앉은 자세를 유지하고 검사자는 통증띠와 원통형 변형 모델을 적용하였다. 대상자가 표현한 부위를 기준으로 검사자는 가쪽위관절융기 부위에서 시작하여 아래팔의 세로 방향으로 따라 내려가 손목관절을 지나 두번째 혹은 세 번째 손가락에서 끝나도 록 하는 방법으로 통증띠 기법을 적용하였다(Figure 3). 검사자의 엄지를 사용하여 강한 압력을 가한 상태로 적용하였고, 강도는 견딜 수 있는 정도의 압박으로 실시하였다. 더 이상 불편감이 느껴지거나 혹은 당기는 느낌이 나타나지 않을 때까지 평균 1-3회 반복적으로 제공되었고, 통증띠 적용 후에는 근막변형모델 적용 원칙에 따라 통증띠 기법이 적용되었던 부위를 검사자의 새끼두덩 부위를 이용하여 중등도의 압력으로 쓸어내는 원통형 변형 기법이 1회 적용되었다(Figure 3). 근막변형모델 기법은 13분 내외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다른 어떤 처치도 제공하지 않았다.

Fig. 3. Trigger band and Cylinder distortion.

3. 통계 분석

본 연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처리는 통계프로그램인 Window용 SPSS ver 22.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변한 요인들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손목 관절 폄근에 대한 집단 내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의 전후 비교는 변수의 정규성 검증을 위해 Shaprio-Wilks 검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정규성 검정 결과 정규분포를 따르므로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FDM과 다이나믹 테이핑 집단 간의 차이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였다. 유의성을 검정하기 위한 유의 수준(α)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 과

1.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 감각 집단 내 전후 비교

관절가동범위에 관한 비교는 근막변형모델은 중재 전 65.45±9.44에서 중재 후 72.01±5.69로(p<0.05), 다이나믹 테이핑은 중재 전 65.74±8.24에서 중재 후 68.03±8.18로(p<0.05) 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 적용 결과 두 집단 모두 관절가동범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Table 2). 고유수용성감각에 관한 비교는 근막변형모델은 중재 전 6.21±3.37에서 중재 후 1.63±1.25로(p<0.05), 다이나믹 테이핑은 중재 전 중재 전 4.92±3.82에서 중재 후 2.95±3.03으로(p<0.05) 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 적용 결과 두 집단 모두 고유수용성감각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Table 2).

Comparison range of motion, proprioception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PRE POST t p
ROM FDM 65.45± 9.44 72.01± 5.69 -5.18 0.001*
DT 65.74± 8.24 68.03± 8.18 -2.76 0.01*
Proprioception (degree) FDM 6.21± 3.37 1.63± 1.25 5.11 0.001*
DT 4.92± 3.82 2.95± 3.03 2.23 0.04*

ROM: Range of motion, FDM: Fasical Distortion Model, DT: Dynamic Taping.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p<0.05.



2.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 감각 전후 집단 간 차이 비교

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의 적용 전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관절가동범위에 관한 비교는 근막변형모델의 전후 차이는 6.61±5.26로 다이나믹 테이핑의 전후 차이는 3.35±2.30으로 근막변형모델이 관절가동범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Table 3). 고유수용성감각에 관한 비교는 근막변형모델의 전후 차이는 4.90±3.46으로 다이나믹 테이핑의 전 후 차이는 3.07±2.73으로 근막변형모델이 고유수용성감각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0.05)(Table 3).

Comparison range of motion, Proprioception fascial distortion model and dynamic taping

FDM DT t p
Pre ROM 65.54± 9.44 65.74± 8.24 -0.68 0.47
ROM 6.61± 5.26 3.35± 2.30 2.45 0.01*
Pre Proprioception 6.21± 3.31 4.92± 3.82 1.12 0.13
Proprioception (degree) 4.90± 3.46 3.07± 2.73 1.75 0.04*

ROM: Range of motion, FDM: Fasical Distortion Model, DT: Dynamic Taping. Values are mean±standard deviation. *p<0.05.


고 찰

손목은 다양한 운동이나 일상생활 동작 중에 자주 사용되는 부위이며, 손목 폄근의 반복적 사용이나 과부하로 인한 근육 손상이 많이 발생된다고 보고되었다.31 Coombes 등33의 임상 지침서에는 가쪽 위관절융기염의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 권장 사항을 단계별로 나눠 제시하였다. 이 지침서에는 수동적 치료, 테이핑 기법, 보조기, 운동, 교육, 조언 등이 포함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최적의 치료법이나 관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막변형모델을 적용한 집단 내 비교결과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다이나믹 테이핑 또한 집단 내 비교에서 유의한 결과 값을 보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목에 근막변형모델을 적용한 결과 근막의 결절 지점에서 발생되는 교차 결합을 제거하여 고체 상태로 변한 근막의 점도를 액체 상태로 변화시켜 목의 관절 가동범위가 증가되었다고 보고되었다.16 Boucher와 Figueroa15는 또한 근막변형모델을 적용하였을 때 결과값이 어깨관절의 가동범위가 증가되었음을 보고되었다. Park과 Kim34은 선행 연구에서는 어깨 수술을 한 환자에게 적용한 다이나믹 테이핑 기법의 효과를 연구하였고, 결과는 테이핑을 적용한 실험군의 어깨 관절의 관절가동범위와 기능장애, 통증 수준이 유의하게 개선되었고 이는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 집단 간에 비교는 근막변형모델이 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막변형모델이 유의하게 증가된 이유는 검사자에 의해 제공된 압력이 요변성에 영향을 주어 근막을 더욱 부드럽게 만들어 손목 관절 폄의 관절가동범위가 증가의 결과라고 추측되고, 이는 근막의 유연한 상태가 인체의 관절가동 범위에 중요 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15,34

고유수용감각(proprioception)은 관절의 힘과 위치 그리고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중추신경계로 전달되는 것으로 힘 감각, 운동 감각, 위치 감각을 포함한다고 보고되었다.35-37 고유수용성감각의 결과는 근막변형모델을 적용한 집단 내 비교에서 고유수용성감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다이나믹 테이핑 또한 집단 내 비교에서 유의한 결과 값을 보였다. Lee9는 선행 연구에서 근막변형모델 적용 결과 발목 관절의 고유수용성감각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도 근막변형모델 적용결과 손목 관절 폄의 고유수용성감각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근막변형모델의 적용으로 인해 기계적수용기의 자극이 운동단위의 활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사료된다. 선행 연구 결과 발목 관절에 테이핑 적용 전, 후 고유수용성감각 비교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고 보고되었다.38 발목 테이핑은 고유수용성 되먹임 기전을 향상시켜 역동적인 발목 안정근육의 동원 시간을 단축시킨다고 보고되었다.39 따라서, 다이나믹 테이핑 적용이 고유수용성감각에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된다. 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 집단 간에 비교는 근막변형모델이 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근막변형모델이 유의하게 감소된 이유는 피부와 근막에 분포하고 있는 기계적 수용기로부터의 감각정보 증대는 운동신경세포의 역치에 영향을 주어 운동단위의 동원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고 보고되었다.35,36 따라서 근막변형모델이 고유수용성감각을 증진시키는 데에 다이나믹 테이핑보다 좀 더 효과적인 중재 방법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 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 적용이 손목관절에 영향을 주어 집단 내에서는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룹 간의 비교에서는 관절가동범위, 고유수용성감각에서 근막변형모델이 다이나믹 테이핑 보다 좋은 중재 방법이라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팔꿉관절 가쪽 위관절융기염을 예방 또는 치료에 근막 변형 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근막변형모델을 적용한 결과 값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수축과 이완을 제한하는 근막에 물리적 압박을 통해 수분을 분산시켜서 생리학적으로 적응하는 능력이 촉진되고 그로 인한 근육에 스트레스가 줄어들고 움직임은 효과적으로 나타난 것이 이라고 추측되며 손의 힘으로 강한 자극을 주고 교차 연결된 근육의 근막을 풀어주어 근 활주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근육 움직임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사료된다. 다이나믹 테이핑을 적용한 결과 값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근육이 늘어날 수 있도록 하고 인체 윤곽에 따라서 늘어 나서 연부 조직의 압박과 지지를 해주고 혈액공급이 원활해지고 되먹임 기전을 향상시켜 근육의 움직임에 따른 근육 동원 시간을 단축시켜주고 협응력을 증가시켜준 결과라고 추측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가쪽 위관절융기염을 가진 환자가 아닌 정상 성인에게 적용이 되었다. 둘째, 근막변형모델과 다이나믹 테이핑을 적용 이후 즉시 재측정이 이루어져 지속성에 대한 사후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셋째, 손목 관절 폄만 측정한 것이다. 향후 가쪽 위관절융기염을 가진 환자군을 대상으로 손목관절 폄과 굽힘 모두 실시하여 즉각적 그리고 지속적 효과에 대한 비교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Bisset LM, Vicenzino B. Physiotherapy management of lateral epicondylalgia. J Physiother. 2015;61(4):174-81.
    Pubmed CrossRef
  2. Lee DR, Kim J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tient-rated tennis elbow evaluation. J Korean Soc Phys Med. 2014;9(1):25-33.
    CrossRef
  3. Coonrad RW, Hooper WR. Tennis elbow: Its course, natural history, conservative and surgical management. J Bone Joint Surg. 1973;55(6):1177-82.
    Pubmed CrossRef
  4. Herquelot E, Bodin J, Roquelaure Y, et al. Work related risk factors for lateral epicondylitis and other cause of elbow pain in the working population. Am J Ind Med. 2013;56(4):400-9.
    Pubmed CrossRef
  5. Huang TZ, Kim SY. Effect of diamond taping applied to the elbow joint on wrist extensor muscle activity in healthy subjects. PTK. 2020;27(2):118-25.
    CrossRef
  6. Choi JH. Effect of taping method using elastic tape and non-elastic tape on pain, grip strength, and muscle activity in middle-aged female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J Korean Soc Phys Med. 2020;15(2):75-81.
    CrossRef
  7. Choung SD, Ha SM, Kim SJ, et al. Effects of stretching extensor carpi radialis with proximal functional massage on pain and strength in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algia. PTK. 2012;19(1):66-75.
    CrossRef
  8. Moon DJ, Kang TS. Literature studies for tennis elbow. KSIM. 2015;3(2):1-8.
    CrossRef
  9. Lee JK. Comparison of maximum isometric strength, proprioceptive, dynamic balance, and maximum angle by applying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subjects. J Kor Phys Ther. 2021;33(5):224-30.
    CrossRef
  10. Lesondak D. Fascia: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UK, Handspring Publishing Limited, 2017:18-124.
    CrossRef
  11. Simons DG, Travell JG, Simons LS. Travell & Si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Upper half of body.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9:12-9.
    CrossRef
  12. Ham YW. Myofascial release for muscle tension. Journal of Allied Health. 1999;8:15-25.
  13. Pienimaki T. Conservativ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tennis elbow: A review article. Crit Rev Phys Rehabil Med. 2000;12(3):213-28.
    CrossRef
  14. Ajimsha M, Chithra S, Thulasyammal RP. Effectiveness of myofascial release in the manage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in computer professionals. Arch Phys Med Rehabil. 2012;93(4):604-9.
    Pubmed CrossRef
  15. Boucher JD, Figueroa J. Restoration of full shoulder range of motion after application of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J Osteopath Med. 2018;118(5):341-4.
    Pubmed CrossRef
  16. Kim MK, Lee WJ. Effect of fascial distortion model on the pain and movement of neck patient. J Kor Phys Ther. 2019;31(1):24-30.
    CrossRef
  17. Richter D, Karst M, Buhck H, et al. Efficacy of fascial distortion model treatment for acute, nonspecific low-back pain in primary care: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Altern Ther Health Med. 2017;23(5):24-32.
    Pubmed
  18. Lee W. Effect of fascial distortion model on the Cobb's angle in adolesc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J Kor Phys Ther. 2019;31(1):31-4.
    CrossRef
  19. Maslinski P, Woldanska-Okonska M. The use of fascial distorsion model (FDM) in patient with limited mobility in the shoulder joint - a case report. Pol Merkur Lekarski. 2017;42(251):214-8.
    Pubmed
  20. Schulze C, Finze S, Bader R, et al. Treatment of medial tibial stress syndrome according to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A prospective case control study. Scientific World Journal. 2014;2014:790626.
    Pubmed KoreaMed CrossRef
  21. Kim JY, Kim SY. The effect of fascial distortion model on maximal grip strength, force sense and range of motion. KSIM. 2021;9(1):33-40.
  22. Park S, Kim J. Comparison of the effect of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foam rolling and self-stretching on the ankle dorsiflexion range of motion. J Kor Phys Ther. 2020;32(4):238-44.
    CrossRef
  23. McNeill W, Pedersen C. Dynamic tape: Is it all about controlling load? J Bodyw Mov Ther. 2016;20(1):179-88.
    Pubmed CrossRef
  24. Vicenzino B. Lateral epicondylalgia: A musculoskeletal physiotherapy perspective. Man Ther. 2003;8(2):66-79.
    Pubmed CrossRef
  25. Vicenzino B, Brooksbank J, Minto J, et al. Initial effects of elbow taping on pain-free grip strength and pressure pain threshold.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3;33(7):400-7.
    Pubmed CrossRef
  26. Lee KJ. The effects of electrical therapy and kinesio taping on the grip strength and pain in tennis elbow patients. JKPTS. 2014;21(1):53-8.
  27. Lee SH, Chung SH, Lee JS, et al. The effect of scapular girdle taping on hemiplegic shoulder pain. JKM. 2000;20(3).
  28. Kim Y, Jang H, Kim S. Effect of hip joint mobilization on hip mobility, balance and gait with stroke patients. PTK. 2014;21(2):8-17.
    CrossRef
  29. Huang TZ, Kim SY. Effect of forearm dynamic taping on muscle activity of extensor carpi radialis brevis during wrist isometric and isotonic contraction. PTK. 2021;28(2):93-100.
    CrossRef
  30. Choi WJ. Measurement and assessment. Seoul, PanMun Education, 2013:67-8.
    CrossRef
  31. Romer F. Practical manual of the fascial distortion model. 1st ed. Berlin, IFDMO, 2013:27-103.
    CrossRef
  32. Hwang J, Kim C, Lee J, et al. Comparison of maximum strength, proprioceptive, dynamic balance, maximum joint angle of stability and instability ankle by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J Phys Ther Sci. 2021;33(10):728-32.
    Pubmed KoreaMed CrossRef
  33. Hincapie OL, Elkins JS, Vasquez-Welsh L. Proprioception retraining for a patient with chronic wrist pain secondary to ligament injury with no structural instability. J Hand Ther. 2016;29(2):183-90.
    Pubmed CrossRef
  34. Coombes BK, Bisset L, Vicenzino B. Management of lateral elbow tendinopathy: One size does not fit all. J Orthop Sports Phys Ther. 2015;45(11):938-49.
    Pubmed CrossRef
  35. Park SJ, Kim SN. The effect of scapular dynamic taping on pain, disability, upper body posture and range of motion in the postoperative shoulder. J Korean Soc Phys Med. 2018;13(4):149-62.
    CrossRef
  36. Chang HY, Chou KY, Lin JJ, et al. Immediate effect of forearm kinesio taping on maximal grip strength and force sense in healthy collegiate athletes. Phys Ther Sport. 2010;11(4):122-7.
    Pubmed CrossRef
  37. Kim JY, Kim SY. Effects of kinesio tape compared with non-elastic tape on hand grip strength. J Phys Ther Sci. 2016;28(5):1565-8.
    Pubmed KoreaMed CrossRef
  38. Donec V, Varžaitytė L, Kriščiūnas A.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on maximal grip force and key pinch force. Pol Ann Med. 2012;19(2):98-105.
    CrossRef
  39. Lee SY. The effect of a taping on muscle strength, and proprioception in ankle. J Korean Soc Phys Med. 2008;3(4):225-33.
  40. Karlsson J, Andreasson GO. The effect of external ankle support in chronic lateral ankle joint instability: An electromyographic study. Am J Sports Med. 1992;20(3):257-61.
    Pubmed CrossRef


February 2025, 37 (1)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Services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